오늘은 경제고통지수가 뭔지  알아볼까요?

경제고통지수란?

국민들이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생활의 고통을 계량화하여 수치로 나타낸 것이에요

경제고통지수=소비자물가상승률+실업률-소득증가율

아서오쿤(미국경제학자)이 고안한 것이라고 해요

경제 고통지수치가 높다는 것은 실업률이나 물가의 상승이 높아져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도 수치가 높은 만큼 크다는 것을 말하죠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에 각국의 경제고통지수가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는데요

 한국의 경제고통 수치는 얼마나 될까요?

2022년 7월 한국의 경제고통지수는 8.8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7월의 경제고통지수 9.0 기록에 가까운 수치라고 하네요

현재 우리나라는 5월 기준으로 

경제고통지수가 21년 만의 최고치 라고하네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도 최악의 물가상승률로 인해 미국의 경제고통지수는 5월 기준

12.2로 나타났다고 해요.

경제가 어려울 때 세대별로 체감하는 경제고통지수가 다르다는 분석이 나왔는데요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청년 15~20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청년 경제고통지수 가장 높은 이유는 물가상승과 취업난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이죠.

 체감 고통지수가 40대보다 2배 높게 나왔다고 하네요

상반기 청년 체감실업률 타연령 대비해서 높아져 20대 실업자수 유일하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물가 오르고 일자리 불안으로  각국 경제고통지수가 치솟고 있는 지금

이제 물가부담에  대형마트마저도 소비자들을 위한

대량이 아닌 소량으로 낱개 판매를 시작했다고 해요

양파 1망 3000 원인게 4800이 되었잖아요.

가격부담을 덜기 위해서 낱개 판매(650원)로 필요한만큼 소비자들이 구매를 한다는 거죠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소비자물가 상승과 실업률또한 낮아지면서 

국민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5년만에 최고치라고 하네요.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입니다.

물가와 실업자가 동시에 증가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고통지수가 급증하는 되어있어요.

IMF 1998년에 경제고통지수는  14.5였다고 하네요

물가는 상승하고 산출량은 감소하는 현상을 

stagflation이라고 하는데 stagnation+inflation을 합친 말이죠

기업들이 생산이 줄면 인건비감소를 위해 근로자의 수를 줄이기 때문에 

고용은 감소하고 실업률은 높아지게 됩니다.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른 경제현상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을 막느냐?

실업을 막느냐? 정부도 어려운 문제를 갖고있는거죠.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총수요를 진정시키면 실업률은 더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되고

반면에 정부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총수요를 확대하면 인플레이션율이 더 높아지는 되는거구요.

원자재 가격상승이라는 이유로 모든 상품가격이 10% 이상 인상되고 있는 현재

소비자들의 지갑은 얇아지고 있고 고통지수만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 가슴이 답답하네요

그럼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책은 없는 걸까요?

물가는 오르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수입근 그만큼 오르지 않고

인플레이션 해결방법은 진짜 없는 걸까요?

 

 

 

 

 

96가지 경제. 금융용어 중 가산금리와 기준금리

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해요

가장 먼저 금리부터 알아볼까요?

금리란? 돈의 값

돈을 썼을때 내는 값이죠 (PRIC)

수요(돈을 빌리는 사람)

공급(돈을 빌려주는 사람)

금리는 돈의 값이다

돈의 값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라고 말할 수 있어요

그럼 오늘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기준금리란?

말그대로 기준이 되는 금리를 말하는 거겠죠?

일반적으로 정부는 경제가 침제 되면 금리를 낮추고 경제가 과잉되면 금리를 

높이는 통화정책을 취하고 있죠

코로나로 인해 금리를 낮추었다가 22년도에 들어서서는 경제가 과잉되었다며

금리를 급격하게 올리고 있어 서민들이 걱정이 많은 현실이죠

 

기준금리가 변경되면 은행 예금 및 대출금리등 금융시장의 금리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죠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오르면 나타나는 현상은?

대출이자와 예금이자가 모두 오릅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은 금리가 이전보다 올랐으므로 대출을 받으려 하지 않을 것이고

예금을 하지 않던 사람들은 예금이자가 올랐으니 예금을 하려고 하겠죠

높은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대출은 줄어들게 되고 더불어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저축에

돈을 늘리면서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기업도 마찬가지로  대출을 받아서 하는  신규투자를 축소하고 유동자금이 줄어들게 되므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유동자산의 지출이 줄어들게 되죠

더불어

주식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지금 현재 22년 우리 경제의 금리인상으로 국민들이 힘들어하는 상황이죠

기준금리가 상승하여 대출금리가 올랐기 때문이죠

대출로 주식, 채권, 부동산을 취득한 경우 이자로 인한 부담이 매우 커졌기 때문이죠

 

두 번째로는 

가산금리란?

가산금리는 기준금리에 신용조건에 따라서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라고 합니다.

가산금리는 Spread라는 영어단어입니다.

대출이자  금리는 개인 신용도에 따라 다르다는 거 알고 계시죠?

신용도가 높은 경우에는 가산금리가 낮고 
개인신용이 낮을 경우에는 가산금리가 높아지게 되는 거죠.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 텀스프레드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입니다.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 게 보통인데
1997년 대한민국 IMF 외환위기일 때 부족한 달러화를 해외에서 차입하고 외평채를 발행하면서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대출금리는?

대출기준금리는( 연 1.26%~2.06%) + 가산금리(연 2.6%~6.5%)를 더하면 나오는데요

가산금리가 더 크게 나오고 있죠?

그럼 가산금리는 어떻게 나오는 걸까요?

가산금리는 이렇게 계산된다고 합니다.

은행본부나 지점장이 조정하는 금리등 내부적으로 정하는 이런 영역들로 해서

정해지는데 소비자입장에서는 왜 가산금리가 오르는지 알 길이 없는 거죠!

요즘 자고 나면 대출금리가 오른다고 하죠?

대출규제 속에 금리까지 가파르게 오르면서 이자부담은 커져가고 

은행에서는 가산금리는 올리고 우대금리는 줄이면서 금리차가 11년 만에

최대로 벌어졌다고 하는 뉴스를 봤어요.

은행만 웃고 있지 않은가요?

갑자기 가산금리 포스팅하는데 욱하는 건 뭘까요?

5대 은행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 만에 1.16% 포인트 올랐고

은행의 가산금리는 0.35% 포인트 오르고 우대금리는 0.04% 포인트 낮아졌다고 합니다.

사실상 가산금리를 0.39% 포인트 인상한 효과라는 거죠

같은 기간 0.36% 포인트 오른 5대 은행 준거금리보다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올린 가산금리가 

더 많이 오른 것이죠.

대출금리는 급등한 반면 예금금리는 여전희 1% 때 초반에 머물고 있으니 말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1997년 IMF시대기억하시죠?

기업이 투자를 하려면 투자가 늘어난다는 건 대출을 많이 받는다는 거예요

당연히 가격이 올라가죠? 고금리시대

기업이 대출을 너무 많이 받아서 기업투자가 실종된다

전 세계덕으로 투자가 줄어들면

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든다

돈의대한 공급은 금리는 떨어지고 저금리시대가 개막되는 거죠.

오늘은 여기까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경제. 금융 용어

부자가 되려면 경제&금융용어 에대한 공부를 해야 한다.

금융문맹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스노폭스의 김승호 회장의 <돈의  속성>이란 책에서는  

부자가 되려면 최소한 알아야 할 96가지 금융언어는 알아야 한다고 하죠.

이런 개념을 모르고 부자가 된 사람은 한 명도 없다고 말이에요.

지도 없이 떠나는 여행은 성공하기 어렵죠

96가지 개념을 모두 이해하면 스스로 경제인이 되었다는 

느낌이 생기지 않을까요?

저의  포스팅이 부자가 되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하나씩 정리해 볼게요.

한국은행 사이트에 가면 금융용어 700선을 볼수있다고 하니 참조하세요~

하루에10분씩 하나씩 배워가도 좋을것같습니다.

 

경제. 금융 용어 정리하기 가산금리

1. 가산금리

2. 경기동향지수

3. 경상수지

4. 고정금리

5. 고통지수

6. 골디락스경제

7. 공공재

8. 공급탄력성

9. 공매도

10. 국가신용등급

11. 국채

12 금본위제

13 금산분리

14. 기업공개

15 기준금리

16. 기축통화

17. 기회비용

18. 낙수효과

19. 단기금융시장

20. 대외의존도

21. 대체재

22 더블팁

23. 디커플링

24. 디플레이션

25. 레버리지효과

26. 만기수익률

27. 마리크로 크레디트

28. 매몰비용

29. 명목금리

30. 물가지수

31. 뮤추얼펀드

32. 뱅크런

33. 배블런효과

34. 변동금리

35. 보호무역주의

36. 본원통화

37. 부가가치

38. 부채담보부증권 CDO

39. 부채비율

40. 분수효과

41. 빅맥지수

42. 상장지수펀드 ETF

43. 서킷브레이커

44. 선물거래

45. 수요탄력성

46. 스왑

47. 스톡옵션

48. 시뇨리지

49. 신용경색

50. 신주인수권부사채 BW

51. 실질임금

52. 애그플레이션

54. 양적완화정책

55. 종합자산관리계좌 CMA

56. 주당순이익 EPS

57. 중앙은행

58. 증거금

59. 지주회사

60. 추심

61. 치킨게임

62. 카르텔

63. 유동성

64. 콜옵션

65. 통화스왑

66. 투자은행

67. 특수목적기구 SPV

68. 파생금융상품

69. 평가절하

70. 표면금리

71. 한계비용

72. 해지펀드

73. 환율조작국

74.M&A

75. 고용률

76. 무디스

77. 소득주도성장

78. 양도성예금증서

79. 연방준비제도 FRS/연방준비은행 FRB

80. 엥겔의 법칙

81. 역모기지론

82. 예대율

83. 옵션

84. 외환보유액

85. 워크아웃

86. 원금리스크

87. 이중통화채

88. 자기 자본비율

89. 자발적 실업

90. 장단기금리차

91. 장외시장

92. 전환사채

93. 정크본드

94. 제로금리정책

95. 주가수익률 PER

96주가지수

이렇게 96가지를 정리해 봤는데요 

익숙한 용어도  있지만 생소한 용어들도 많으시죠?

앞으로 제 포스팅 보시면서 하나씩 배워가는 건 어떨까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