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가지 경제. 금융용어 중 가산금리와 기준금리

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해요

가장 먼저 금리부터 알아볼까요?

금리란? 돈의 값

돈을 썼을때 내는 값이죠 (PRIC)

수요(돈을 빌리는 사람)

공급(돈을 빌려주는 사람)

금리는 돈의 값이다

돈의 값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라고 말할 수 있어요

그럼 오늘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기준금리란?

말그대로 기준이 되는 금리를 말하는 거겠죠?

일반적으로 정부는 경제가 침제 되면 금리를 낮추고 경제가 과잉되면 금리를 

높이는 통화정책을 취하고 있죠

코로나로 인해 금리를 낮추었다가 22년도에 들어서서는 경제가 과잉되었다며

금리를 급격하게 올리고 있어 서민들이 걱정이 많은 현실이죠

 

기준금리가 변경되면 은행 예금 및 대출금리등 금융시장의 금리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죠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오르면 나타나는 현상은?

대출이자와 예금이자가 모두 오릅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은 금리가 이전보다 올랐으므로 대출을 받으려 하지 않을 것이고

예금을 하지 않던 사람들은 예금이자가 올랐으니 예금을 하려고 하겠죠

높은 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대출은 줄어들게 되고 더불어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저축에

돈을 늘리면서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기업도 마찬가지로  대출을 받아서 하는  신규투자를 축소하고 유동자금이 줄어들게 되므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유동자산의 지출이 줄어들게 되죠

더불어

주식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지금 현재 22년 우리 경제의 금리인상으로 국민들이 힘들어하는 상황이죠

기준금리가 상승하여 대출금리가 올랐기 때문이죠

대출로 주식, 채권, 부동산을 취득한 경우 이자로 인한 부담이 매우 커졌기 때문이죠

 

두 번째로는 

가산금리란?

가산금리는 기준금리에 신용조건에 따라서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라고 합니다.

가산금리는 Spread라는 영어단어입니다.

대출이자  금리는 개인 신용도에 따라 다르다는 거 알고 계시죠?

신용도가 높은 경우에는 가산금리가 낮고 
개인신용이 낮을 경우에는 가산금리가 높아지게 되는 거죠.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 텀스프레드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입니다.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 게 보통인데
1997년 대한민국 IMF 외환위기일 때 부족한 달러화를 해외에서 차입하고 외평채를 발행하면서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대출금리는?

대출기준금리는( 연 1.26%~2.06%) + 가산금리(연 2.6%~6.5%)를 더하면 나오는데요

가산금리가 더 크게 나오고 있죠?

그럼 가산금리는 어떻게 나오는 걸까요?

가산금리는 이렇게 계산된다고 합니다.

은행본부나 지점장이 조정하는 금리등 내부적으로 정하는 이런 영역들로 해서

정해지는데 소비자입장에서는 왜 가산금리가 오르는지 알 길이 없는 거죠!

요즘 자고 나면 대출금리가 오른다고 하죠?

대출규제 속에 금리까지 가파르게 오르면서 이자부담은 커져가고 

은행에서는 가산금리는 올리고 우대금리는 줄이면서 금리차가 11년 만에

최대로 벌어졌다고 하는 뉴스를 봤어요.

은행만 웃고 있지 않은가요?

갑자기 가산금리 포스팅하는데 욱하는 건 뭘까요?

5대 은행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 만에 1.16% 포인트 올랐고

은행의 가산금리는 0.35% 포인트 오르고 우대금리는 0.04% 포인트 낮아졌다고 합니다.

사실상 가산금리를 0.39% 포인트 인상한 효과라는 거죠

같은 기간 0.36% 포인트 오른 5대 은행 준거금리보다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올린 가산금리가 

더 많이 오른 것이죠.

대출금리는 급등한 반면 예금금리는 여전희 1% 때 초반에 머물고 있으니 말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1997년 IMF시대기억하시죠?

기업이 투자를 하려면 투자가 늘어난다는 건 대출을 많이 받는다는 거예요

당연히 가격이 올라가죠? 고금리시대

기업이 대출을 너무 많이 받아서 기업투자가 실종된다

전 세계덕으로 투자가 줄어들면

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든다

돈의대한 공급은 금리는 떨어지고 저금리시대가 개막되는 거죠.

오늘은 여기까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